맨위로가기

중산 고속공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산 고속공로는 1971년 착공하여 1978년 전 구간이 개통된 대만의 주요 고속도로이다. 기륭에서 가오슝까지 대만의 남북을 연결하며, 총 52개의 나들목, 17개의 분기점, 6개의 휴게소, 1개의 터널로 구성되어 있다. 1960년대 말 경제 성장으로 인한 교통량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건설되었으며, 사우디아라비아의 무이자 차관 지원을 받았다. 시즈-우구 고가도로와 우구-양메이 고가도로를 포함하며, 여러 차례의 확장 공사를 거쳐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만의 국도 - 포르모자 고속공로
    포르모자 고속공로는 타이완의 국도 3호선으로, 서부를 남북으로 관통하며 농촌 지역 경제 개발 촉진과 국도 1호선 교통 혼잡 완화를 목적으로 건설되었으나, 건설 과정에서 여러 논란이 있었다.
  • 대만의 국도 - 중화민국의 일반 국도
    중화민국의 일반 국도는 1964년 최초의 고속도로 개통 이후 남북 및 동서 방향의 다양한 노선으로 발전해 왔으며, 유료가 일반적이지만 공공성 및 기능적 중요성으로 무료 구간도 존재한다.
중산 고속공로 - [지명]에 관한 문서
개요
기륭 기점
기륭 기점
노선 종류타이완의 국도 (고속공로)
노선 번호국도 1호선
다른 이름중산 고속공로
1호 고속공로
총 연장374.3 km
개통일1978년 10월 31일 (전 구간)
경로
기점런아이
주요 경유지지룽시
신베이시
타이베이시
타오위안시
신주 현
신주 시
먀오리 현
타이중시
장화 현
윈린 현
자이 현
자이 시
타이난시
가오슝시
종점첸전
분기점
주요 분기점시즈에서 국도 3호선
타오위안에서 국도 2호선
바오산에서 국도 3호선
선강에서 국도 4호선
장화에서 국도 3호선
신스에서 국도 8호선
런우에서 국도 10호선
기타 정보
이전 노선 종류고속공로
이전 노선 번호10
다음 노선 종류고속공로
다음 노선 번호2
중화민국 도로 정보
번체자國道1號/中山高速公路
간체자国道1号
병음Guódào Yīhào/Zhōngshān Gāosù Gōnglù
웨이드-자일스Chungshan K'aosu Kunglu
광둥어Zung1 saan1 Gou1 cuk1 gung1 lou6
예일Jung1 shan1 Gau1 su4 gung1 lu4
민난어Tiong-san Ko-sok Kang-lō

2. 역사

중산 고속공로는 1971년 8월 14일에 공사를 시작하여 대만의 남북을 잇는 핵심적인 교통 기반 시설로 건설되었다. 건설 과정에서는 사우디아라비아로부터 무이자 대출 지원을 받기도 했다.[1] 1974년 북부 일부 구간이 개통된 데 이어 1978년 10월 31일 전 구간이 완공되어 운행을 시작했다. 개통 이후 늘어나는 교통 수요에 맞춰 차로 확장, 고가도로 건설 등 지속적인 개선 작업이 이루어졌으며, 통행료 징수 방식 변경(ETC 도입) 및 일부 구간의 최고 속도 제한 상향 조정 등 운영상의 변화도 있었다. 때로는 군사적 목적으로 활용되기도 했는데, 2019년 한광 훈련 당시에는 중화민국 공군 항공기의 비상 이착륙 훈련 장소로 사용되었다.[2]

2. 1. 연혁

1971년 8월 14일 공사가 시작되었다. 건설 자금의 일부는 사우디아라비아가 제공한 무이자 대출로 충당되었다.[1] 1974년 7월 29일 싼충에서 중리까지의 북쪽 구간이 먼저 개통되었고, 1978년 10월 31일에는 고속도로 전 구간이 개통되었다. 같은 날 린커우 나들목부터 기장(공항) 나들목까지의 구간이 6차로로 확장 개통되었다.

이후 교통량 증가에 따라 지속적인 확장 공사가 이루어졌다. 1981년에는 싼충 나들목부터 린커우 나들목까지의 구간이 8차로로 확장되었고, 1987년에는 린커우 나들목부터 양메이 나들목까지의 구간이 확장되었다. 이 확장으로 린커우 나들목부터 기장(공항) 분기점까지는 8차로, 기장(공항) 분기점부터 양메이 나들목까지는 6차로가 되었다. 1995년 12월에는 시우 고가부(汐五高架段)가 개통되었고, 1997년에는 시즈우구 사이 고속도로 위에 20.7km 길이의 고가도로가 완공되어 도로 용량을 늘렸다. 1999년 12월에는 양메이 나들목부터 신주 나들목까지의 구간이 6차로로 확장되었다.

2003년 4월에는 내리막길 감속 규정이 폐지되면서 전 구간의 최고 속도 제한이 시속 100km로 변경되었다. 같은 해 12월에는 신주 나들목부터 위안린 나들목까지의 구간이 6차로로 확장되었으며, 특히 장화 분기점부터 장화 나들목까지의 구간은 기존 4차로에서 8차로로 크게 확장되었다. 2006년 2월 10일에는 ETC 시스템이 도입되어 통행료 징수 방식에 변화가 생겼다. 2008년 3월 16일에는 타이안 휴게소부터 난쯔 나들목까지의 구간에서 최고 속도 제한이 시속 110km로 상향 조정되었다.

2008년 9월에는 위안린 나들목부터 가오슝 나들목까지의 대규모 확장 공사가 완료되었다. 세부 구간별 확장 내용은 다음과 같다.

  • 4차로에서 6차로로 확장된 구간: 위안린 나들목 ~ 더우난 나들목, 더우난 요금소 ~ 타이난 분기점, 옌수이시(鹽水溪)교 ~ 난쯔 나들목
  • 4차로에서 8차로로 확장된 구간: 더우난 나들목 ~ 윈린 분기점, 윈린 분기점 ~ 더우난 요금소, 타이난 분기점 ~ 옌수이시(鹽水溪)교, 난쯔 나들목 ~ 딩진 분기점
  • 8차로에서 10차로로 확장된 구간: 딩진 분기점 ~ 가오슝 나들목


2009년 11월 21일에는 우구-양메이 고가도로(五楊高架, 우양 고가) 공사가 시작되었고, 2013년 4월 20일에 개통되었다. 2010년 1월 28일에는 가오슝항의 대형 화물차를 위한 전용 고가도로가 개통되었다. 이후에도 새로운 분기점과 나들목이 지속적으로 개통되었다. 2011년에는 다화 분기점(7월 31일), 샤잉 분기점(10월 2일), 민슝 나들목(12월 23일)이 개통되었고, 2012년 4월 21일에는 후웨이 나들목이 개통되었다.

2013년 12월 30일에는 기존의 요금소가 모두 폐지되고, ETC 시스템을 이용한 거리제 요금 방식으로 전환되었다. 2015년에는 가오슝항 고가 연결 도로(12월 28일)와 다완 나들목 북상 입구(12월 30일)가 개통되었다. 2016년에는 가오슝 삼국 통로(3월 19일)와 타이난 나들목의 새로운 북상 입구(6월 24일)가 개통되었으며, 2017년에는 타이난 나들목 북상 두 번째 출구(1월 26일)와 기륭항 서안 고가 도로(4월 16일)가 개통되었다. 2018년 11월 9일에는 가오슝항 신생 고가 도로가 개통되었다.

2019년에는 한광 훈련의 일환으로 중화민국 공군 항공기가 장화현 화탄 구간의 국도 1호선(중산 고속공로)에서 이착륙 훈련을 실시하기도 했다.[2]

2. 2. 군사적 활용

(작성할 내용 없음)

3. 노선 구성

중산 고속공로는 타이완의 주요 고속공로로서, 다수의 나들목(IC), 분기점(JCT), 요금소, 터널 등의 시설물을 포함하고 있다.[8] 이를 통해 각 지역 및 다른 도로망과 연결된다. 상세한 시설물 현황과 구간별 정보는 하위 문단을 참조하라.

3. 1. 주요 시설물

시설물개수
나들목52개소
분기점17개소
휴게소6개소
터널1개소 [8]


3. 2. 차선 및 최고 속도

(상행선+하행선=총)최고 속도비고기륭 종점 - 다화 JCT2+2=4100 km/h다화 JCT - 시저 IC3+3=6시저 IC - 위안산 IC2+2=4※1위안산 IC - 타이베이 IC3+3=6타이베이 IC - 우구 IC4+4=8우구 IC - 기창 JCT※2기창 JCT - 중리 대체 활주로3+3=6중리 대체 활주로 본선중리 대체 활주로 - 양매 요금소양매 요금소 - 후커우 IC후커우 IC - 후커우 SA3+4=7후커우 SA - 신주 IC3+3=6신주 IC - 신주 JCT3+4=7신주 JCT - 다안시교3+3=6다안시교 - 장화 JCT110 km/h장화 JCT - 장화 IC4+4=8장화 IC - 위얼린 요금소3+3=6위얼린 요금소 - 베이더우 IC4+4=8베이더우 IC - 더우난 IC3+3=6더우난 IC - 윈린 JCT4+4=8윈린 JCT 본선3+3=6윈린 JCT - 더우난 요금소4+4=8더우난 요금소 - 타이난 JCT3+3=6타이난 JCT - 옌수이시교4+4=8옌수이시교 - 런더 JCT3+3=6※3런더 JCT - 난즈 IC난즈 IC - 딩진 JCT4+4=8100 km/h딩진 JCT - 가오슝 IC 지우루 출구5+5=10가오슝 IC 지우루 출구 - 가오슝 IC 중정 출구4+4=8가오슝 IC 중정 출구 본선3+3=6가오슝 IC 중정 출구 본선 - 우자 JCT4+4=8우자 JCT - 가오슝 종점3+3=6



=== 고가도로 포함 구간 차선 정보 ===

중산고 본선과 시우우 고가도로, 우양 고가도로를 포함한 일부 구간의 차선은 다음과 같다.

구간차선
(상행선+하행선=총)
시저 IC - 위안산 IC4+4=8
위안산 IC - 타이베이 IC5+5=10
타이베이 IC - 시우우환베이 IC (중산고 본선 26K)6+6=12
시우우환베이 IC - 우구 전용도로3+4+4+3=14
우구 전용도로 - 우구 IC5+4+4+5=18
우구 IC - 타이산 전용도로 북2+5+5+2=14
타이산 전용도로 북 - 타이산 전용도로 남4+7+7+4=22
타이산 전용도로 남 - 린커우 IC3+5+4+3=15
린커우 IC - 타오위안 IC3+4+5+3=15
타오위안 IC - 기창 JCT3+4+4+3=14
기창 JCT - 중리 대체 활주로6+6=12
중리 대체 활주로 - 양매 요금소5+5=10


3. 3. 나들목 및 분기점

중산 고속공로에는 52개의 나들목, 17개의 분기점, 6개의 휴게소, 1개의 터널이 있다.[8] 각 시설의 목록은 아래와 같다. 거리의 단위는 km이다.

3. 4. 고가도로

중산 고속공로의 교통량 분산을 위해 본선 위에 건설된 고가도로 구간으로, '''시즈-우구 고가도로'''(汐止五股高架橋)와 '''우구-양메이 고가도로'''(五股楊梅高架橋) 두 구간으로 나뉜다. 이 고가도로는 국도 1호선의 일부로 취급되며, 나들목 번호 등 체계는 본선과 공유하거나 별도로 부여된다.

=== 시즈-우구 고가도로 ===

신베이시 시즈구에서 우구구까지 이어지는 고가도로 구간이다.[3][4][5][6]

거리 (km)종류시설명연결 노선명비고소재지
12.8기점시즈 기점
국도 1호선 북측
고가도로 북쪽 끝; 고가도로 남행 진입로[5]신베이시시즈구
18.8나들목(IC)티딩 나들목 (堤頂交流道)티딩 대로 (堤頂大道)타이베이시네이후구
20.7나들목(IC)샤타요우 나들목 (下塔悠交流道)빈장가 (濱江街)북행 출구만 있음[5]송산구
26.1나들목(IC)환베이 나들목 (環北交流道)환허 북로 (環河北路)북행 출구 및 남행 진입로 (하프 인터체인지)[5]다퉁구
32.0분기점(JCT)우구 분기점 (五股轉接道) 우구-양메이 고가도로 (타오위안 국제공항, 양메이 방면)남행 출구 및 북행 진입로[5]신베이시우구구
32.1나들목(IC)우구 나들목 (五股交流道)-- 타이완 지방도 64호선
-- 타이완 지방도 65호선
-- 시도 107A호선 (신우 로)
남행 출구 및 북행 진입로[5]
32.9종점우구 종점 국도 1호선 남측고가도로 남쪽 끝; 고가도로로의 북행 환승[5]



=== 우구-양메이 고가도로 ===

신베이시 우구구에서 타오위안시 양메이구까지 이어지는 고가도로 구간이다.[5][6]

거리 (km)종류시설명연결 노선명비고소재지
32.0기점우구 분기점 (五股轉接道) 시즈-우구 고가도로 (시즈, 티딩 방면)고가도로 북쪽 끝[5]신베이시우구구
35.8분기점(JCT)타이산 분기점 (泰山轉接道) 국도 1호선 북행 지상북행 지상 구간으로 환승 가능[5]타이산구
52.7분기점(JCT)공항 시스템 분기점 (機場系統交流道)
국도 2호선 서측 (타오위안 국제공항 방면)
동행(타오위안 방면) 출구 없음[5]타오위안시타오위안구
59.7분기점(JCT)중리 분기점 (中壢轉接道) 국도 1호선 (북행 타오위안 방면, 남행 중리 방면)양방향 지상 구간으로 환승 가능[5]중리구
71.0종점양메이 종점 (楊梅端) 국도 1호선 남측고가도로 남쪽 끝; 고가도로 북행 진입로[5]양메이구


참조

[1] 웹사이트 Taiwan in Time: The last great friend https://www.taipeiti[...] Taipei Times 2021-07-04
[2] 뉴스 Han Kuang military drill kicks off with computer-aided war games http://focustaiwan.t[...] Focus Taiwan 2019-04-22
[3] 웹사이트 Freeway No. 1 – Distances of facilities (exits, service areas) http://www.freeway.g[...] Taiwan Area National Freeway Bureau 2013-07-05
[4] 지도 https://maps.google.[...]
[5] 지도 Relation: 國道一號中山高速公路(南下) (3745870) – OpenStreetMap http://www.openstree[...] OpenStreetMap
[6] 지도 Relation: 國道一號中山高速公路(北上) (3745869) – OpenStreetMap http://www.openstree[...] OpenStreetMap
[7] 웹사이트 交通部臺灣區國道高速公路局全球資訊網-高速公路局交通資訊導引 https://www.freeway.[...] 交通部臺灣區國道高速公路局 2007-11-23
[8] 문서 基隆の起点付近にある。
[9] 문서 하행선과 가까운 구간은 43.0
[10] 문서 하행선과 가까운 구간은 60.0
[11] 웹사이트 http://www.freeway.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